☎ 궁금해요

신흥종교운동의 성격

참평화방문요양센터 2008. 12. 10. 23:29
한국 신흥종교 성격
    신흥종교운동의 성격 한국신흥종교의 사상적 특성은 개벽사상 또는 종말사상으로 나타난다. 개벽사상은 사회에서 소외되고 억눌려 온 민중의 한과 원망이 종교적 형태로 승화되어 나타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은 내세에서의 구원보다는 오히려 현세에서의 구원에 있다. 그리스도교는 인간의 존엄성을 강조하고 있는 반면 한국 신흥종교의 개벽사상과 종말신앙은 한국 근,현대사의 특징인 계급모순에 대한 고발인 동시에 ‘민중종교운동’으로서의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기도 하다. 또 하나의 특징은 민족주체사상인 선민사상과 민족문화계승사상을 통해서 나타난다. 이러한 사상은 세계 인류의 구원은 한국에서부터 시작되고, 지상천국도 한국에서부터 건설될 것이라는 신앙을 수반한다. 통일교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그리스도계 신흥종교의 교리 속에는 유교, 불교, 도교, 단군신앙의 내용까지도 포괄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천년왕국 신앙이란 요한묵시론 20장 1-7절의 내용에 근거하여 그리스도가 재림하여 천년왕국시대가 도래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 세상 종말의 구체적인 시간을 예언하기도 하였다. 대부분의 그리스도계 신흥종교들은 자기 종단의 창교자가 바로 재림주이고 메시아라고 단언한다. 시한부 종말론은 세상 종말과 천년왕국의 임박을 강조하기 때문에 직장이나 학업, 재산, 심지어는 가정까지도 포기한 채 종말에만 전념케 함으로써 많은 사회적 물의를 빚기도 한다. 기대한 천년왕국의 도래가 지원됨으로써 나타나는 집단 자살과 같은 집단 히스테리 현상, 또는 기존 사회체제에 대한 전면적인 부정과 새로운 사회체제를 위한 민란이나 혁명 등은 천년왕국운동에서 나타나는 일반적 현상이다. ♠ 출처: 노길명著 「한국의 종교운동」 한국 신흥종교운동의 성격(129~159쪽)

'☎ 궁금해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교회에 관한 교의 헌장 제4장  (0) 2009.02.07
공의회(公議會)  (0) 2009.02.07
신영성운동의 실체  (0) 2008.12.10
신앙과 이성  (0) 2008.10.23
니케아 - 콘스탄티노플 신경  (0) 2008.10.12